분류 전체보기
-
vi 편집기 명령어Back end/Server 2024. 8. 9. 11:39
1. 모드 전환명령 모드 (Command Mode): vi를 처음 열면 이 모드로 시작합니다. 명령 모드에서는 텍스트를 편집하거나 파일을 저장하는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입력 모드 (Insert Mode):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명령 모드에서 i, a 등을 눌러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명령 모드로 돌아가기: ESC 키를 눌러 입력 모드에서 명령 모드로 돌아갑니다.2. 입력 모드로 전환i: 현재 커서 위치에서 입력 시작a: 현재 커서 다음 위치에서 입력 시작o: 현재 줄 아래에 새로운 줄을 추가하고 입력 시작3. 텍스트 저장 및 종료:w: 파일 저장:q: vi 종료 (저장되지 않은 내용이 있으면 종료되지 않음):wq 또는 :x: 파일 저장 후 종료:q!: 저장하..
-
Jenkins?Back end/Jenkins 2024. 7. 25. 16:34
https://velog.io/@bbkyoo/Jenkins 무엇을 통합한다는 것일까?기본적으로 코드이다.여러 명의 많은 개발자들이 코드 베이스를 계속해서 통합하는 것이다.여러 개발자들의 코드를 각각 가능한 빠르게" data-og-host="velog.io" data-og-source-url="https://velog.io/@bbkyoo/Jenkins" data-og-url="https://velog.io/@bbkyoo/Jenkins"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SHi6Z/hyWGZhUG5E/SB2fwM5N91SMavgP169nUK/img.png?width=1280&height=335&face=0_0_1280_335,https://scrap.kakaoc..
-
트랜잭션?DB 2024. 7. 24. 16:20
트랜잭션(Transaction)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이루는 일련의 연산을 말합니다.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작업으로, 일반적으로 여러 단계의 작업이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여 수행됩니다. 트랜잭션은 반드시 ACID 속성을 만족해야 합니다1. 원자성(Atomicity)**: 트랜잭션 내의 모든 작업이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되거나, 모두 수행되지 않아야 합니다. 일부 작업만 수행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2. 일관성(Consistency)**: 트랜잭션이 시작되기 전과 완료된 후의 데이터베이스 상태는 일관성 있는 상태여야 합니다. 모든 데이터 규칙이 트랜잭션 완료 후에도 유지되어야 합니다.3. 고립성(Isolation)**: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될 때, 서로의 작업..
-
-
docker 테스트Back end/Server 2024. 7. 3. 15:45
https://opentutorials.org/course/128/8657 Docker - 생활코딩소개 가상 머신처럼 독립된 실행환경을 만들어주는 도구. 마치 운영체제에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것처럼 실행 된다. 하지만 운영체제는 실제로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설치 용량이 적고 빠르다. opentutorials.org docker 컨테이너 접속 명령어 ex) sudo docker exec -it hello /bin/bash : hello는 생성 된 컨테이너 이름
-
자바파일 compile 방법.Back end/Java 기본 2024. 7. 1. 14:25
java 프로그램을 돌리는데 가끔 jar파일 컴파일이 안되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아래 부분은 예시이다. .java 파일 컴파일은 javac -cp .:jar파일 위치 경로 컴파일할 .java파일ex) javac -cp :/home/park/tomcat9/webapps/jjm_test1b/WEB-INF/lib/EzIssuerJava.jar bcqre.java .class 파일 컴파일은 java .:/jar파일 위치경로 컴파일할 .class파일ex) java -cp .:/home/park/tomcat9/webapps/jjm_test1b/WEB-INF/lib/EzIssuerJava.jar bcqre
-
JNI 와 PURE JAVA?Back end/Java 기본 2024. 6. 26. 15:00
JNI (Java Native Interface): JNI(Java Native Interface)**는 Java 애플리케이션에서 네이티브(플랫폼 특정) 코드를 호출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입니다. 이는 Java 프로그램이 C, C++ 등의 네이티브 언어로 작성된 라이브러리나 코드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주요 특징:플랫폼 종속 코드 호출: JNI를 사용하면 Java 코드에서 특정 운영 체제 기능이나 하드웨어와 상호작용하는 코드(C, C++ 등)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네이티브 라이브러리 로드: System.loadLibrary() 메서드를 통해 네이티브 라이브러리를 로드합니다.메서드 선언: 네이티브 메서드를 Java에서 선언하고, 해당 메서드를 네이티브 언어로 구현합니다.JNI..
-
.xml 파일과 .properties 파일의 차이점Back end/SpringBoot 2024. 5. 3. 14:31
.xml 파일과 .properties 파일은 모두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파일 형식이지만, 사용되는 목적과 구조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목적:.xml 파일: 주로 데이터의 구조화 및 저장에 사용됩니다. XML은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로, 데이터를 계층 구조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주로 설정 파일이나 데이터의 구조화된 표현에 사용됩니다..properties 파일: 주로 설정 파일로 사용됩니다. 주로 키-값 쌍(key-value pair)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구성(configurations)이나 메시지들을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구조:.xml 파일: 태그(tag)들의 계층 구조로 데이터를 표현합니다. 각 태그는 요소(element)라고 불리며, 태그들은 부모-자식 관계를 가..